728x90
반응형
내당능장애의 진단기준이 궁금합니다.
정상혈당 범위는 최소 8시간 이상 음식을 섭취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복 혈장 혈당 100 mg/dL 미만이고, 75 g 경구당부하검사 2시간째 혈장 혈당 140 mg/dL 미만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내당능장애는 75 g 경구당부하검사 2시간째 혈당이 140~199 mg/dL 범위인 경우입니다.
내당능장애 이외에도 공복혈당장애를 당뇨병의 전단계로 분류할 수 있 는데, 공복혈당장애는 공복혈당이 100~125 mg/dL에 해당합니다.
한 편, 2010년부터 당뇨병 진단기준에 당화혈색소(최근 2~3개월간의 평균 혈당농도) 6.5% 이상이 새롭게 포함되었으며, 당뇨병 전단계로 당화혈 색소 5.7~6.4% 기준이 추가되었습니다.
내당능장애 이외에도 공복혈당장애를 당뇨병의 전단계로 분류할 수 있 는데, 공복혈당장애는 공복혈당이 100~125 mg/dL에 해당합니다.
한 편, 2010년부터 당뇨병 진단기준에 당화혈색소(최근 2~3개월간의 평균 혈당농도) 6.5% 이상이 새롭게 포함되었으며, 당뇨병 전단계로 당화혈 색소 5.7~6.4% 기준이 추가되었습니다.
당뇨병전단계는 당뇨병으로 진행할 위험이 얼마나 되나요?
내당능장애는 적절히 관리하지 않으면 많은 환자들이 당뇨병으로 이환된다(7.5년 후 당뇨병 발생 34%, 10년 후 심혈관질환 발생 11%) 는 점에서 주의 깊게 봐야 될 상태입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6.4년 동안 지켜본 결과, 정상혈당을 보였던 사람 에서는 5%에서만이 당뇨병이 발생한 반면, 내당능장애와 공복혈당장 애를 모두 가지고 있었던 사람에서는 64.5%에서 당뇨병으로 진행한 결과를 보였습니다. 특히 허리둘레가 굵은 복부 비만한 사람에서 당뇨 병으로 더 많이 진행하여, 복부 비만이 당뇨병을 유발하는 중요한 위 험요소임을 알 수 있습니다.
최근 44,203명을 평균 5.6년(2.8~12년) 동안의 연구 결과를 통해, 당 화혈색소 5.5~6.0%군에서 9~25%의 당뇨 발생을, 당화혈색소 6.0~6.5%군에 서 25~50%의 당뇨 발생을 보여, 당화혈색소 5.0%군과 비교하여 20배 위험률이 증가함을 보여 주었습니다. 따라서, 당화혈색소 6.0% 이상에 서는 특히 더 주의해야 하겠습니다.
한국인에게 적절한 제2형 당뇨병의 위험인자는 아래와 같아 함께 주 의를 요합니다. ▸과체중(체질량지수 23 kg/m2 이상), ▸직계 가족(부모, 형제자매)에 당뇨병이 있는 경우, ▸공복혈당장애나 내당능장애의 과거 력, ▸임신성 당뇨병이나 4 kg 이상의 거대아 출산력, ▸고혈압(140/90 mm Hg 이상, 또는 약제 복용), ▸HDL 콜레스테롤 35 mg/dL 미만 혹은 중성지방 250 mg/dL 이상, ▸인슐린저항성(다낭난소증후군, 흑색 가지세포증 등), ▸심혈관질환(뇌졸중, 관상동맥질환 등).
한 연구에 따르면 6.4년 동안 지켜본 결과, 정상혈당을 보였던 사람 에서는 5%에서만이 당뇨병이 발생한 반면, 내당능장애와 공복혈당장 애를 모두 가지고 있었던 사람에서는 64.5%에서 당뇨병으로 진행한 결과를 보였습니다. 특히 허리둘레가 굵은 복부 비만한 사람에서 당뇨 병으로 더 많이 진행하여, 복부 비만이 당뇨병을 유발하는 중요한 위 험요소임을 알 수 있습니다.
최근 44,203명을 평균 5.6년(2.8~12년) 동안의 연구 결과를 통해, 당 화혈색소 5.5~6.0%군에서 9~25%의 당뇨 발생을, 당화혈색소 6.0~6.5%군에 서 25~50%의 당뇨 발생을 보여, 당화혈색소 5.0%군과 비교하여 20배 위험률이 증가함을 보여 주었습니다. 따라서, 당화혈색소 6.0% 이상에 서는 특히 더 주의해야 하겠습니다.
한국인에게 적절한 제2형 당뇨병의 위험인자는 아래와 같아 함께 주 의를 요합니다. ▸과체중(체질량지수 23 kg/m2 이상), ▸직계 가족(부모, 형제자매)에 당뇨병이 있는 경우, ▸공복혈당장애나 내당능장애의 과거 력, ▸임신성 당뇨병이나 4 kg 이상의 거대아 출산력, ▸고혈압(140/90 mm Hg 이상, 또는 약제 복용), ▸HDL 콜레스테롤 35 mg/dL 미만 혹은 중성지방 250 mg/dL 이상, ▸인슐린저항성(다낭난소증후군, 흑색 가지세포증 등), ▸심혈관질환(뇌졸중, 관상동맥질환 등).
내당능장애는 치료하면 정상으로 될 수 있습니까?
중국(Da Qing) 연구 결과 내당능장애 성인(평균 연령 40대)을 대 상으로 야채 섭취 독려, 알코올과 당 섭취 제한하는 식이 요법 및 신체 활동 증진을 독려하는 방법으로 6년 후에 46% (100명당 연간 14.1명의 발생을 7.9명으로 줄임)의 당뇨병 발생을 예방하였습니다. 또한, 적극 적인 생활습관 교정 이후 14년째에도 당뇨병 발생을 예방하고 있었습 니다.
핀란드에서는 내당능장애 성인(평균 연령 50대)을 대상으로 5%이상 의 체중감소, 지방섭취 제한, 섬유소 섭취 증가(적어도 15 g/1000 kcal), 적어도 하루 30분 이상의 중등도 운동을 하여 3.2년 후에 58% (남성 63%, 여성 54%)의 당뇨병 발생을 예방하였습니다. 마찬가지로 7년 후 에도 43%의 당뇨병 발생을 예방하고 있었습니다.
비만한 공복혈당 장애 및 내당능장애 성인(평균 50.6세, 당뇨병 가족 력+69.4%)을 대상으로 지방섭취제한(~25%), 하루 1200~1800 칼로리 제한 및 일주일에 150분 이상의 운동을 통해 7%의 체중 감소를 목표 로 2.8년 동안 유지하여, 58%의 당뇨병 발생을 예방하였습니다.
너무 걱정하시지 말고 일단 식이와 운동, 생활습관 교정을 시작하면, 충분히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핀란드에서는 내당능장애 성인(평균 연령 50대)을 대상으로 5%이상 의 체중감소, 지방섭취 제한, 섬유소 섭취 증가(적어도 15 g/1000 kcal), 적어도 하루 30분 이상의 중등도 운동을 하여 3.2년 후에 58% (남성 63%, 여성 54%)의 당뇨병 발생을 예방하였습니다. 마찬가지로 7년 후 에도 43%의 당뇨병 발생을 예방하고 있었습니다.
비만한 공복혈당 장애 및 내당능장애 성인(평균 50.6세, 당뇨병 가족 력+69.4%)을 대상으로 지방섭취제한(~25%), 하루 1200~1800 칼로리 제한 및 일주일에 150분 이상의 운동을 통해 7%의 체중 감소를 목표 로 2.8년 동안 유지하여, 58%의 당뇨병 발생을 예방하였습니다.
너무 걱정하시지 말고 일단 식이와 운동, 생활습관 교정을 시작하면, 충분히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내당능장애일 때 약물치료로 당뇨병을 예방하는 약은 없는지요?
당뇨병의 약물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당뇨병을 예방하는 약물로 는 메트포르민, 아카보스, 글리타존 계열의 약물 등이 있습니다.
비용 효과면에서 유일하게 당뇨병 예방목적의 약물치료로 메트포르 민이 추천되고 있습니다.
당뇨병전단계 [내당능장애(A), 공복혈당장애(E), 당화혈색소 5-7~6.4%(E)] 중에서도 비만하거나, 60세 미만(특히 25~44 세), 임신성 당뇨병이 있었던 여성에게 고려되고 있습니다
비용 효과면에서 유일하게 당뇨병 예방목적의 약물치료로 메트포르 민이 추천되고 있습니다.
당뇨병전단계 [내당능장애(A), 공복혈당장애(E), 당화혈색소 5-7~6.4%(E)] 중에서도 비만하거나, 60세 미만(특히 25~44 세), 임신성 당뇨병이 있었던 여성에게 고려되고 있습니다
내당능장애에서 합병증이 발생하나요?
내당능장애를 가진 사람에서 당뇨병이 생기기 전에 당뇨병성 망막 증, 당뇨병성 신증과 같은 전형적인 당뇨병의 합병증이 잘 생기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내당능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정상 혈당을 가지 고 있는 사람들에 비하여 동맥경화증에 의한 대혈관질환이 생길 위험 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당뇨병이 발생할 위험이 매우 높아집 니다.
그러므로 내당능장애를 개선시키기 위한 식사조절 및 운동을 통 한 체중조절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러나 내당능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정상 혈당을 가지 고 있는 사람들에 비하여 동맥경화증에 의한 대혈관질환이 생길 위험 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당뇨병이 발생할 위험이 매우 높아집 니다.
그러므로 내당능장애를 개선시키기 위한 식사조절 및 운동을 통 한 체중조절이 매우 중요합니다.
반응형
'건강한 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가혈당 측정및 인슐린 주사 (0) | 2023.08.01 |
---|---|
당뇨병의 증상은 어떤경우인가요? (0) | 2023.07.31 |
당뇨병의 분류와 진단 (1) | 2023.07.29 |
당뇨병의 원인 (0) | 2023.07.28 |
당뇨병과 운동요법 2 (0) | 2023.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