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십니까?

전 당뇨병으로 15년째 치료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전 너무 심해서 첫번째 합병증 치주질환으로 제 이빨이 아닙니다

두번째는 눈 질환으로 양쪽 백내장 수술을 했어요.

세번째는 심장에 혈관이 막혀서 관상동맥우회술을 했고 

네번째는 뇌혈관질환으로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동안 제가 몸소 체험한 것을 바탕으로  

당뇨환자의 운동에 대하여 소개합니다.

꾸준히 하셔야 합니다. 습관이 되어야 합니다.

환자 개인별로 자신에게 알맞은 운동을 어느 정도로 해야 할 것인가,

그리고 삼가야 할 운동은 무엇인가 등을 미리 알아야 합니다.

매일 규칙적으로 할 수 있는 운동이 바람직합니다.

통근시간을 이용하여 걷기,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지 않고 계단을 오르기, 아침 체조,

일주일에 34회 씩 자전거타기 등 여러 가지 운동을 할 수 있습니다.

운동의 시기는 비만한 환자이고 식사요법만 하는 경우라면

식전과 식후 어느 때나 해도 좋으며, 경구혈당강하제나 인슐린을 사용하고 있는 환자라면

식후에 운동을 하는 것이 저혈당의 예방을 위하여 좋습니다.

당뇨병의 합병증이 심하거나 간장이 나쁜 경우 또는 동맥경화증이 심한 때는 식후에 심한 운동을 심장과 혈관에 무리가 될 수 있습니다. 각자의 건강 상태와 취미에 따라 하되, 정적인 운동과 동적인 운동을 매일 생활화하여 시행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운동시간은 가능한 매일 같은 시각에 실시하며 가급적이면 식후 30분에 시작하여

30분 내지 1시간 씩 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인슐린을 맞는 사람은 보통 인슐린의 효과가 최소이고 혈당이 높아졌을 때 시행하며

인슐린 주사부위의 근육의 운동은 삼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운동중에 발생하는 저혈당 현상입니다.당장 운동을 멈추어야합니다.

운동을 얼마 만큼 강하게 할 것인가는 숨이 조금 찰 정도의 운동의 강도로

하루에 3060분 가량 실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운동 요법은 일시적으로 실시해서는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하루 300칼로리 이상 소비할 수 있는 운동(1시간)을 택하여 지속적으로 실시해야 합니다.

그러나 무리한 운동으로 너무 많이 땀을 흘리는 것은 오히려 몸을 해칠 수 있으므로

산책, 조깅, 맨손체조, 자전거 타기 등의 가벼운 전신 운동이 좋습니다.

매일 30분 정도 빠른 속도로 걷거나, 자전거 타기를 30분 정도 하거나

테니스를 30분 정도 치는 것은 바람직합니다. 운동의 종류에 따른

매 시간당 칼로리 소모량은 표와 같습니다.

운동의 빈도는 혈당의 조절을 위하여 일주일에 3일 이상 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의사의 처방에 따라서 자신에게 맞는 운동을 찾아 꾸준하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운동을 했다고 해서 칼로리가 많이 소모되었다고 음식물을 많이 섭취하면 혈당이 생각보다 많이 올라 갑니다.

운동량에 비해 소모되는 칼로리의 양은 의외로 적습니다.

또한 혈당이 조절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등산, 수영 등 격렬한 운동을 하면 오히려 혈당이 더 올라가기 때문에 처음에는 가벼운 산책을 꾸준히 하는 것이 좋습니다.

 

 

너무 격렬하게 운동을 하면 혈당 강하제를 사용하는 환자에서는 저혈당이 오는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신발의 크기에도 세심한 주의를 해야 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